-
롯데백화점 파트너포탈 EDI 시스템: 입점·수발주·정산을 끝까지 자동화하는 실무 가이드
파트너사가 롯데백화점과 데이터를 정확하고 빠르게 주고받으려면 파트너포탈(EDI)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이해해야 합니다. 이 글은 입점·계정 개설 → 연결 방식 선택(AS2/SFTP/VAN/웹EDI) → 주문(PO) 수신 → 출고/ASN → 반입/검수 → 반품/차감 → 세금계산서/정산까지 실무 흐름을 단계별로 정리한 안내서입니다. 메시지 필드 매핑, 오류 코드, 점검 체크리스트, 보안·인증까지 모두 담았습니다. 아래 목차부터 원하는 파트를 바로 살펴보세요.
목차
- 시스템 개요: 파트너포탈 EDI의 역할과 전체 흐름
- 입점·계정 개설: 사업자 등록부터 권한 배정까지
- 연결 방식 선택: AS2·SFTP·VAN·웹EDI 비교
- 보안·인증: IP 화이트리스트, 인증서, 암호화 정책
- 마스터 데이터: 품목·바코드·거래처·매장코드 표준
- 주문(PO) 수신: 메시지 구조·수량 변경 대응
- 출고·ASN(선적통지): 라벨·패킹·박스-품목 매핑
- 매장 반입·검수: 차이 발생 시 처리 로직
- 반품/차감(클레임): 코드 체계와 근거 증빙
- 세금계산서·정산: INVOIC/정산내역 대사
- 프로모션·행사: 사전협의 데이터와 가격 반영
- 대시보드·리포트: KPI/SLI 모니터링 루틴
- 에러 핸들링: 전송 실패·스키마 오류·중복 방지
- 운영 팁: 피크 대응, 배치 스케줄, 재처리 규칙
- 웹EDI 화면 가이드: 메뉴 구조와 입력 요령
- FAQ: 실무에서 자주 묻는 12가지
- 체크리스트: 출고 전·정산 전 1분 점검표
1) 시스템 개요: 파트너포탈 EDI의 역할과 전체 흐름

목적: 주문·출고·반입·반품·정산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표준 교환하여 오입력/지연/분쟁을 줄이고 운영 효율을 높임.
주요 메시지: 주문(ORDERS) → 출고예고/ASN(DESADV) → 매장반입/검수(RECADV 유사) → 세금계산서/정산(INVOIC) → 클레임/차감(CLAIM).
채널: AS2, SFTP, VAN, 웹EDI 중 선택. 실시간/배치 혼합 운영이 일반적입니다.2) 입점·계정 개설: 사업자 등록부터 권한 배정까지
기본 정보: 사업자등록증, 통장 사본, 정산 담당/물류 담당/IT 담당 연락처 등록.
계정 구조: 회사 관리자(권한 부여/사용자 생성), 실무 사용자(주문/ASN/정산), IT 시스템 계정(머신투머신).
검증 단계: 테스트 구간에서 PO→ASN→정산 전체 사이클 샘플 케이스를 2~3회 성공해야 운영 전환 승인됩니다.
권한 분리: 출고/ASN 작성자와 정산 승인자의 분리가 추천됩니다(내부 통제 강화).3) 연결 방식 선택: AS2·SFTP·VAN·웹EDI 비교
AS2: 실시간 송수신, MDN 회신으로 전송 무결성 확인. 자체 인프라/인증서 관리 필요.
SFTP: 배치 파일 전송, 운영이 단순하며 대용량에 유리. 전송 주기 설계가 중요.
VAN: 맵핑/모니터링을 외부에서 지원, 초기 구축 부담↓. 건당 비용 구조 고려.
웹EDI: 포털에서 직접 입력/업로드. 소량/초기 거래에 적합, 자동화 수준은 낮음.
선택 기준: 거래량, IT 역량, SLA(확정/정산 타임라인), 비용을 종합해 결정하세요.4) 보안·인증: IP 화이트리스트, 인증서, 암호화 정책
네트워크: 고정 IP 등록 및 화이트리스트 적용. 테스트/운영 구간 IP 분리 권장.
인증서: AS2는 공개키/개인키 교환, 서명·암호화 필수. 갱신 주기 캘린더 등록.
계정 관리: 분기 1회 비밀번호 변경, 휴면계정 잠금, OTP/2단계 인증 사용 권장.
로그: 전송/수신 로그 1년 이상 보관, 개인정보 포함 파일은 암호화 저장 원칙 준수.5) 마스터 데이터: 품목·바코드·거래처·매장코드 표준
품목: 품번, 품명, 규격, 색상/사이즈, 단가, VAT, 유통기한/로트(해당 시) 등록.
식별자: 공급사코드, 브랜드코드, 매장코드, 물류센터코드, GTIN/EAN-13.
라벨 규격: 박스/개별 상품 바코드 표준(숫자 길이·체크디지트·폰트).
변경관리: 가격/규격 변경 시 효력 발생일자 필수, 구·신 가격 혼용 기간 충돌 방지 로직 필요.6) 주문(PO) 수신: 메시지 구조·수량 변경 대응
핵심 필드: 주문번호(고유), 발주일/납기일, 납품처(매장/센터), 품목코드, 주문수량, 단가, 특약(행사/증정).
수량 조정: 품절/단종/대체 제안은 승인 프로세스를 통해 처리. 임의 변경 출고는 반려/차감 사유입니다.
분할 납품: 납기 준수 위해 분할 가능 시 주문 라인별 출고분·잔량을 구분해 ASN에 반영.
자동수집: ERP에 PO를 자동 적재하고 예외만 알림 처리하면 인력 소모가 줄어듭니다.7) 출고·ASN(선적통지): 라벨·패킹·박스-품목 매핑
ASN 필수: 출고 직후 ASN 전송(마감 시각 준수). 미전송/지연은 반입·정산 지연의 주원인.
패킹 구조: 박스(SSCC)–아이템 계층으로 매핑, 박스별 수량·로트·유통기한(해당 시) 기재.
라벨: 매장·센터 지정 라벨 부착 위치/규격 준수. 스캔 실패를 막기 위해 인쇄 농도·여백 점검.
송장: 출고송장 번호를 ASN에 포함해 반입 시 매칭률을 높입니다(중복 번호 금지).8) 매장 반입·검수: 차이 발생 시 처리 로직
매칭: 매장/센터는 ASN↔실물↔PO를 3자 대조. 수량/바코드/규격 불일치 시 예외처리 등록.
오차 유형: 과납/과소, 라벨 불량, 파손/유통기한 임박, 매장 오입고.
처리: 즉시 보정 가능한 오류는 현장 정정, 나머지는 클레임/반품으로 전환. 사진·로그를 증빙으로 남깁니다.
리드타임: 반입 확정 후 정산 시스템으로 이동—리드타임 지표를 월별 추적하세요.9) 반품/차감(클레임): 코드 체계와 근거 증빙
사유 코드: 파손, 유통기한, 라벨오류, 오배송, 가격오표시 등 표준 코드 사용.
서류: 반품요청서, 사진(외관/바코드/라벨), 반입 시점 기록, 택배/회수장 운송장.
승인 흐름: 매장 요청 → 본사 검토 → 공급사 확인 → 회수/재납품/차감 중 택일.
정산 영향: 차감은 해당 기간 정산에서 반영. 기준일 마감 전 처리하지 못하면 익월 이월됨을 유의하세요.10) 세금계산서·정산: INVOIC/정산내역 대사
발행: 공급가/부가세/합계, 할인/행사 차감, 반품/차감 반영 후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대사: INVOIC ↔ 정산명세 ↔ 반입확정 수량을 대조. 단가/할인율/사은품 회계 처리 일치 여부 점검.
지급: 지급주기/마감일을 준수하고, 어음/현금/지급보류(클레임) 내역을 구분해 관리.
증빙 보관: 세금계산서·정산서·반품서류를 기간별 폴더로 보관, 분쟁 발생 시 즉시 제시 가능하도록 체계화합니다.11) 프로모션·행사: 사전협의 데이터와 가격 반영
필드: 행사코드, 적용기간, 행사단가/할인율, 진열 매장, 판촉물/증정 조건.
PO 연동: 행사단가가 PO에 반영되어야 정산 차이가 없습니다. PO·라벨·전표의 가격 일치가 핵심.
사후 정산: 판매실적 기반 리베이트/성과할인은 별도 정산 라인으로 구분해 투명성 확보.
점검: 행사 시작 전 샘플 주문·출고·정산 시뮬레이션을 권장합니다(테스트 데이터).12) 대시보드·리포트: KPI/SLI 모니터링 루틴
KPI: ASN 적시율, 반입 확정 리드타임, 주문처리율, 반품률, 정산조정 건수.
알림: 전송 실패, 미반입 장기건, 마감임박 정산 미대사 건은 일일 리마인드로 자동 알림 설정.
주간 회의: 예외 10대 원인·영향 금액·개선 조치 표준 템플릿으로 공유하면 효과적입니다.
분석: 매장/품목/기간별 드릴다운으로 구조적 이슈(라벨·포장·운송)를 추적하세요.13) 에러 핸들링: 전송 실패·스키마 오류·중복 방지
전송 실패: HTTP/AS2 4xx·5xx, SFTP 타임아웃, 파일 잠금—재시도 정책(지수백오프)과 최대 재전송 횟수 정의.
스키마 오류: 필수 필드 누락, 숫자/날짜 포맷 불일치, 금액 합계 오류—사전 스키마 검증기로 차단.
중복: 메시지 ID/주문번호+라인+버전으로 멱등성 확보, 동일 파일 재수신 방지 룰 적용.
모니터링: 전송/수신·파싱·적재 단계별 로그를 나눠 원인 파악 시간을 줄입니다.14) 운영 팁: 피크 대응, 배치 스케줄, 재처리 규칙
피크 시즌: 명절/세일 기간엔 배치 주기를 단축(예: 30→10분), 알림 임계값을 보수적으로 조정.
스케줄: PO 수집은 영업 마감 직후+새벽, ASN은 출고 직후, 정산은 마감 D-1 집중 배치.
재처리: 실패 파일은 이력 보존 상태에서 필드만 보정 후 재전송, 원본 덮어쓰기 금지.
문서화: 장애 사례·해결법을 위키로 축적해 신규 담당자 온보딩 시간을 절반으로 줄이세요.15) 웹EDI 화면 가이드: 메뉴 구조와 입력 요령
메뉴: 대시보드(공지/장애 알림) · 주문함 · ASN 작성 · 반품/클레임 · 정산/세금계산서 · 리포트 · 계정/권한.
주문함: 필터(매장/기간/상태)로 조회 → 엑셀 내보내기 → 출고 계획 수립.
ASN 작성: 주문 선택 → 박스 생성 → 품목 스캔/수량 입력 → 송장번호/차량정보 입력 → 임시저장/전송.
정산: 기간/매장별 정산서 조회, 차감 사유 확인, 이의제기는 증빙 첨부 후 댓글/접수 기능 활용.
권한: 사용자별 메뉴 가시성 제어로 오입력을 예방합니다.16) FAQ: 실무에서 자주 묻는 12가지
Q1. 주문 수량보다 적게 출고해도 되나요?
A. 가능하나 잔량·사유를 ASN에 명확히 표시, 사전 승인 프로세스 준수.Q2. ASN 없이 출고하면?
A. 반입 지연·정산 보류 위험. 반드시 출고 직후 전송.Q3. 라벨 규격이 다르면?
A. 스캔 실패로 반품/차감 발생 가능. 표준 라벨로 재인쇄 권장.Q4. 행사단가가 정산과 다릅니다.
A. PO·라벨·전표 가격 일치 여부와 행사기간 교차 확인 후 조정 요청.Q5. 중복 파일을 전송했습니다.
A. 멱등 키로 차단되었는지 확인, 미차단 시 즉시 문의·정정.Q6. 세금계산서 금액 차이 원인?
A. 반품/차감 미반영, VAT 소수점 반올림 규칙 차이, 행사 리베이트 사후정산 여부 점검.Q7. 테스트/운영 전환 기준?
A. 시나리오 2~3건 무결 통과, 알림/재처리 정책 등록 후 운영 승인.Q8. 인증서 만료 대처?
A. 만료 30일 전 갱신·키 교체·상호등록, 교체 후 연결 테스트 필수.Q9. 매장 코드가 바뀌었습니다.
A. 마스터 동기화 후 과거 주문 영향 확인, 전환일 기준 스위치오버.Q10. 파일 암호화는 필수인가요?
A. 전송 채널 보안(AS2/SFTP) 외 민감 데이터는 추가 암호화 권장.Q11. 공휴일 배치 운영은?
A. 휴무 스케줄 반영, 지연 허용치/알림 수위 조정.Q12. 장기간 미거래 후 재개?
A. 계정/인증서/화이트리스트 재점검, 테스트 1회 후 운영 복귀.17) 체크리스트: 출고 전·정산 전 1분 점검표
출고 전(30초)
- PO 번호·납품처·납기일 재확인
- 라벨 스캔 테스트(임의 박스 1건)
- ASN 전송 스케줄러 정상 작동
- 행사단가·증정 조건 일치 체크
정산 전(30초)
- 반입확정 수량=INVOIC 수량 대조
- 반품/차감 건 처리 완료 여부 확인
- VAT·반올림 규칙, 소계/합계 일치
- 이의제기 마감일 알림 설정
정리: 롯데백화점 파트너포탈 EDI는 단순 전송 도구가 아니라 주문부터 정산까지 연결하는 운영 플랫폼입니다. 연결 방식을 사업 상황에 맞게 선택하고, PO–ASN–반입–정산의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면 분쟁·지연·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한 체크리스트와 에러 대응 루틴을 팀 표준으로 삼아, 피크 시즌에도 흔들리지 않는 안정 운용을 완성하세요.
https://together.lotteshopping.com/EMDV3/index.html
롯데백화점
together.lotteshoppi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