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65 자원봉사포털 봉사활동 신청 홈페이지

    2025. 8. 21.

    by. 대왕콜팝

    1365 자원봉사포털 봉사활동 신청 홈페이지 완벽 가이드

    목차

    • 1. 1365 자원봉사포털이란?
    • 2. 회원가입 및 로그인 절차
    • 3. 봉사활동 검색 및 신청 방법
    • 4. 봉사실적 확인 및 출력
    • 5. 청소년 봉사활동 활용법
    • 6. 자원봉사 인증서 발급 절차
    • 7. 연계 기관 및 실적 연동
    • 8. 모바일 사용 방법 및 팁
    • 9. 자주 묻는 질문(FAQ)

    1. 1365 자원봉사포털이란?

    1365 자원봉사포털 봉사활동 신청 홈페이지

    1365 자원봉사포털은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자원봉사 통합 플랫폼입니다. 자원봉사 참여를 원하는 국민 누구나 회원가입 후 봉사활동을 검색하고 신청할 수 있으며, 활동 내역과 실적 관리를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공공 포털입니다.

    https://www.1365.go.kr/vols/main.do

    2. 회원가입 및 로그인 절차

    회원가입은 본인 인증을 포함하며,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도 보호자 동의 후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 시 이름, 생년월일, 휴대폰 인증, 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해야 하며, ID/PW 설정 후 로그인하면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봉사활동 검색 및 신청 방법

    1365 포털 메인화면 상단의 ‘봉사참여’ 메뉴에서 지역, 날짜, 봉사분야 등을 선택해 봉사활동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봉사활동이 있다면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신청 완료 후 마이페이지에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봉사실적 확인 및 출력

    봉사활동이 완료되면 주관 기관이 실적을 등록하게 됩니다. 사용자는 로그인 후 ‘나의 봉사활동’ 메뉴에서 봉사일자, 시간, 기관명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출력 버튼을 통해 봉사활동 확인서 또는 인증서를 PDF 또는 인쇄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5. 청소년 봉사활동 활용법

    청소년의 경우 학교 생활기록부에 반영되는 공식 봉사실적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단, 반드시 교육부와 연계된 기관에서 진행하는 봉사활동이어야 하며, 활동 시간과 내용이 명확하게 기록되어야 합니다. 미연계 활동은 학교 제출용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6. 자원봉사 인증서 발급 절차

    인증서는 마이페이지의 ‘실적관리’ 또는 ‘실적조회’ 메뉴에서 본인이 원하는 봉사기간을 설정한 뒤 발급 신청할 수 있습니다. 출력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며, 기관 제출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별도의 비용 없이 무제한 출력 가능합니다.

    7. 연계 기관 및 실적 연동

    1365 포털은 복지로, VMS(사회복지자원봉사인증관리), 청소년활동정보서비스(Dovol)와 일부 연계되어 있습니다. 연계 동의 절차를 거치면 하나의 봉사활동 실적이 다른 플랫폼에도 자동 등록되며, 불필요한 이중 입력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8. 모바일 사용 방법 및 팁

    1365 포털은 모바일 웹에서도 접속 가능하며, 봉사활동 검색, 신청, 실적 확인 등을 모두 지원합니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는 로그인 유지 설정과 화면 최적화를 통해 편의성이 높습니다. 다만 봉사활동 확인서 출력은 PC 환경이 더 적합합니다.

    9. 자주 묻는 질문(FAQ)

    1365 포털을 사용하면서 자주 나오는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실적 등록이 지연될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해당 봉사기관에 직접 문의 필요
    • 중복된 ID로 가입이 되지 않습니다 → ID 찾기 또는 고객센터 문의
    • 학교제출용 실적은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요? → 교육부 연계기관 봉사만 인정

    이 외에도 로그인 오류, 비밀번호 재설정, 실적 연계 방법 등은 고객센터나 홈페이지 하단의 도움말 메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1365 자원봉사포털은 전국민 자원봉사 참여를 지원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봉사활동을 손쉽게 신청하고, 실적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학생, 직장인, 일반인 모두에게 유용한 플랫폼입니다. 정기적으로 활용하여 나눔 문화를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